티스토리 뷰

Git

git note

tose33 2021. 7. 7. 14:59

working directory: 내가 작업한 파일들이 있는 내 컴퓨터의 디렉토리 (공간)

staging area: 리모트 레포지토리로 커밋을 수행할 파일들이 올라가는 영역. 

local repository: 내 컴퓨터의 레포지토리. working directory에 있는 .git 폴더.

remote repository: github에 있는 원격 레포지토리. 

 

 

 

일반적으로 내 working directory에서 파일을 수정하고 github에 반영하는 방법

1. 변경된 파일들을 staging area에 추가 

git add [파일명]  // staging area에 파일 추가

git add .   // . 으로 모든 변경된 파일들 추가 가능

 

2. staging area에 있는 내역들을 커밋으로 local repository에 추가 

git commit -m "수정 사항 입력" 

 

3. local repository에서 remote repository로 푸쉬

git push

 

 

github에서 모든 파일들 가져오기 (clone)

git clone [github 주소]

 

 

remote repository와 local repository를 동기화 시키기.  (remote repository 상태를 local repository로 가져옴)

git pull

 

 

 

나의 working directory에 수정된 사항있는지 확인

git status 

 

 

커밋 내역 수정

git commit --ammend

나오는 에디터 화면은 윈도우에선 기본적으로 유닉스 에디터.

i 눌러서 수정모드로 진입후 수정. 

esc 눌러서 편집모드 진입후 :wq 로 저장후 나오면 커밋 내역 수정됨.

 

 

커밋 내역 보기

git log

 

 

이전 커밋 상태로 되돌아가기

git log에서 나오는 해쉬값으로 해당 커밋했던 지점으로 되돌아갈수 있음.

 

git reset --hard [커밋 해쉬값]

 

이렇게 하면 해당하는 커밋 상태로 되돌아가고 이후에 커밋된 내용은 사라짐.

 

 

강제 push

local repository와 remote repository의 상태가 다르더라도 강제로 push함.

git push -f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주소  (0) 2021.07.13
내 컴퓨터의 기존 폴더와 github 연결  (0) 2021.07.10
리모트 트래킹 브랜치  (0) 2021.07.10
Github desktop vs Command line  (0) 2021.07.10
git branch  (0) 2021.07.07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