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정리/DB

정의와 특징

tose33 2023. 10. 21. 20:43

- 여러 명의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이 공유하고 동시에 접근이 가능해야 한다.

(엑셀은 아님)

 

데이터의 무결성

- db 안의 데이터는 어떤 경로를 통해 들어 왔던지 오류가 있어서는 안 된다.

- 무결성을 위해 db 는 제약 조건이라는 특성을 갖는다 

예를들어 학생 데이터에서 모든 학생은 학번이 반드시 있어야 하며, 서로 중복되면 안된다는 제약 조건.

=> 학번은 무결한 데이터로 보장.

 

데이터의 독립성

db 에서 뭔가 변경되더라도 기존의 응용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된다.

db 와 응용프로그램은 독립적 관계여야 한다.

 

보안

사용자는 각기 다른 권한을 갖는다.

 

데이터 중복의 최소화

만약 어떤 테이블을 엑셀로 관리하면 여러 사용자들이 각기 다른 엑셀 파일을 갖고 수정할수 있다.

그렇게 되면 같은 정보가 각각의 엑셀 파일에 중복되어 관리된다.

 

응용 프로그램 제작 및 수정이 쉬워짐

서로 다른 응용 프로그램에서 db 에 접근해 데이터 갖고 갈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안전성 향상

dbms 는 백업,복원 기능이 존재.

 

 

관계형 DB (RDBMS)

여러개의 테이블로 나눠 저장함으로서 불필요한 공간의 낭비 줄임, 데이터 저장의 효율성 보장.

나뉜 테이블의 관계는 기본키와 외래키로 관계 맺음.

장점: 유지보수, 대용량 데이터 관리, 데이터 무결성 보장 (동시에 db 에 접근해야할 경우 좋음)

단점: 시스템 자원 많이씀